초록 |
Polymethylmethacrylate(PMMA), Polycarbonate(PC)와 같은 플라스틱이나 유리는 투명한 성질로 산업 전반에 걸쳐 매우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물질의 투명성은 저온 환경에서 고온 다습한 환경으로 전이되는 점에서 그 표면 온도가 대기의 이슬점보다 낮을 경우, 표면에 응축되는 물방울에 의해 빛이 산란되어 순간적으로 투명성이 사라지게 된다. 따라서, 오래 전부터 기재의 표면을 친수성화 시켜서 물방울이 필름의 형태로 응축되도록 하여 빛의 산란을 없애 투명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친수성 코팅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초기의 친수성 코팅은 계면활성제를 기재 위에 도포하거나 가교시킨 친수성 고분자만을 코팅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코팅은 물에 쉽게 씻겨 내려가거나 기계적 강도가 낮아서 장시간 사용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1]. 이후에 연구되어진 유-무기 하이브리드 친수성 코팅은 친수성기를 가지는 유기 금속 알콕사이드만를 사용하였다. 유기 금속 알콕사이드의 3차원 네트웍 구조를 이루어 기계적 강도가 높고, 유기 금속 알콕사이드의 친수성 부분이 친수성을 나타낸다. 하지만, 기재와의 접착성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2, 3] 따라서, 최근에 기재와의 접착성을 좋게 하기 위해 유기 금속 알콕사이드에 친수성 유기 단량체를 첨가하여 코팅을 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4-6].본 연구에서는 유기 금속 알콕사이드로서 N-[3-trimethoxysilyl propyl] ethylene diamine(TSPEDA)와 3-methacryloxy propyl trimethoxy silane(MPTS)를 이용하였고, 유기 단량체로서는 2-Hydroxyethyl methacrylate(HEMA)를 이용하였다. HEMA와 MPTS의 다양한 몰 비에 따른 공중합체를 제조하고, TSPEDA와 혼합, 코팅 후 열 경화 시켰다. 이를 이용하여 TSPEDA와 HEMA-MPTS 공중합체의 조성의 변화와 공중합체의 공중합 몰 비의 변화에 따른 코팅층의 물과의 접촉각, haze값, 접착성 등의 물리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과 FT-IR을 이용하여 친수성과 표면 경도에 영향을 주는 코팅층에서의 반응에 대해 연구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