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공학소재연구정보센터
Prospectives of Industrial Chemistry, Vol.9, No.5, 43-48, October, 2006
[기획특집 - 바이오 인포메틱스] DNA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를 이용한 생물정보학의 발전 동향
Research Trends of Bioinformatics Using DNA Microarray Data
1990년대 DNA 마이크로어레이(혹은 DNA chip) 기술의 개발로 인해 수천 혹은 수만개의 유전자의 발현 변화를 간단한 실험으로 측정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이 기술은 세포내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지놈 수준으로 연구할 수 있게 함으로써 포스트 지놈 시대에 가장 각광받는 도구로 자리잡게 되었다. DNA 마이크로어레이 실험으로부터 쏟아지는 엄청난 양의 데이터는 통계학 혹은 정보처리 기술이 없으면 해석이 불가능하고, 이로 인해 DNA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 해석은 생물학과 정보처리학의 융합 분야인 생물정보학에서 중요한 분야로 떠오르게 되었다. 초기에 생물정보학자들은 DNA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로부터 보다 정확한 발현 정보를 얻는 방법이나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전자 혹은 샘플들을 분류하는 방법 개발에 관여하였다. 최근에는 이 데이터에 네트웍 모델을 도입하여 세포내 분자수준의 네트웍을 DNA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로 분석하는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미래에는 실험방법의 최적화와 생물정보학의 발전을 통하여 DNA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로부터 의학적으로 혹은 공학적으로 중요한 정보들을 지놈 수준으로 간단하고 빠르게 알아낼 수 있는 시대가 도래 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DNA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 해석에 관하여 지금까지의 발전 동향에 대하여 소개하도록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