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an Technology, Vol.3, No.1, 96-105, June, 1997
유동층연소로에서 유,무연탄 혼합연소시 탈황에 관한 연구 --- 폐제지슬러지를 이용한 황산화물 제어 ---
A study on desulfurization by anthracite -bituminous coal blend combustion in a fluidized bed combustor --- A desulfurization using waste paper sludge ---
초록
본 연구는 유,무연탄 혼합 유동층 석탄연소로에서 폐제지슬러지를 탈황제로 사용하였을 경우 석회석 입자크기, 주입공기 유속, Ca/S 몰비, 무연탄비, 층온도 등에 따른 SO2 제거 효율에 관해 연구하였으며,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폐제지슬러지의 입자크기는 탈황율에 매우 큰 영항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입자크기 1016㎛ 일 때 가장 높은 탈황율을 보였고, 주입되는 공기의 유속변화에 따른 탈황율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Ca/S 몰비 3까지는 급격히 탈황율이 증가하였으나 3이상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므로 Ca/S 몰비는 3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층온도는 탈황율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800℃에서 가장 높은 탈황율을 보였으며, 무연탄비가 증가할수록 탈황율이 약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무연탄 혼합연소시 폐제지슬러지는 매우 높은 탈황율을 보여 탈황제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SO2 removal efficiency of anthracite bituminous coal blend combustion in a fludized bed coal combustor with Ca/S, anthracite ratio, bed temperature, and waste paper sludge particle size.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presented as follow; the effect of the desulfurization by the particle size of waste paper sludge was a great and SO2 removal efficiency was heigest in paper sludge dia 1016㎛. And the difference of SO2 removal efficiency according to air velocity was not too large. As Ca/S mole ratio incresed, SO2 removal efficiency incresed rapidly up to Ca/S mole ratio 3 while the desulfurization rates did not increse too largely in the range of more than the level. The bed temperature had a great deal of effect on the desulfurization rate. So the SO2 removal efficiency was a graet using waste paper sludge that the properbility of paper sludge as sorbent was conformed.
- Lee DC, Hodges FL, Georgakis C, Chem. Eng. Sci., 35, 302 (1980)
- Zheng J, Yates FG, Rowe PN, Chem. Eng. Sci., 37(2), 167 (1982)
- 손재익, "저질탄의 유동층 연소기술 개발 연구(II)," 한국동력자원연구소 (1983)
- 대한 석탄 협회, 9. 55 (1982)
- 한국통계연감, 127 (1982)
- Berkowitz N, "An Introduction to Coal Technology," Chio, Academic Press (1979)
- Senary MK, Pirkey J, "Limestone Characterization for AFBC Applications," 1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Fluidization Bed Combustion, 341 (1988)
- Borgwardt RH, Ind. Eng. Chem. Res., 28, 493 (1989)
- Alvfors P, Svedberg G, Chem. Eng. Sci., 43, 1183 (1988)
- Anderson PJ, Morgan PL, Trans. Faraday Soc., 60, 930 (1964)
- Anderson PJ, Horlock RF, Avery RG, Proc. Br. Ceram. Soc., 3, 33 (1965)
- 김재범, 홍성창, 오광중, 도동섭, 대한환경공학회지, 12(2), 71 (1990)
- 장현태, "유동층 연소로에서 Screen 충전물이 아황산가스 제어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고려대학교 화학공학과 (1991)
- 장현태, "유동층연소로에서 유, 무연탄 혼합연소 및 연소가스 배출특성," Ph.D. Thesis, 고려대학교 화학공학과 (1995)
- 김영훈, "유동층 연소로에서 유, 무연탄 혼합연소시 탈황특성,"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화학공학과 (1995)
- Neathery JK, Schafer J, Gonzalez R, Stencel J, A Novel Approach to AFBC Design with Low NOx and High Sulfure Capture, Proc. 11th Int. Conf. on Fluidized Bed Combustion, ASME, Montreal, Canada, Vol. 3, pp. 1511-151 (1991)
- Muller C, Flament G, AIChE J., 34, 519 (1988)
- 홍성창, 오광중, 도동섭, 대한환경공학회지, 13(4), 227 (1991)
- 오광중, "저품위 한국산 무연탄의 특성과 Screen 충전물이 유동층연소로의 동특성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85)
- Garcia-Labiano F, Adanez J, Chem. Eng., 70 (1992)
- 오광중, 홍성창, 김재용, 도동섭, 대한환경공학회지, 13(1), 37 (1991)
- 박태성, "유, 무연탄 혼합에 따른 유동층 연소특성," 고려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1993)